멀리뛰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하며, 1912년부터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공인하기 시작했다. 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총 18개이다.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1922년 국제 여자 육상 연맹(FSFI)이 처음 공인했으며, 1988년 갈리나 치스티야코바가 세운 7.52m 기록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 경기 기록 - 마라톤 세계 기록 추이
마라톤 세계 기록은 1896년 시작된 마라톤 경기의 역사를 반영하며, 남자와 여자 모두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하며 발전해 왔다. - 육상 경기 기록 -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멀리뛰기 세계 기록 추이 | |
---|---|
멀리뛰기 세계 기록 추이 | |
남자 | |
기록 | 8.95m |
선수 | 마이크 파월 |
날짜 | 1991년 8월 30일 |
장소 | 일본, 도쿄도, 도쿄 |
여자 | |
기록 | 7.52m |
선수 | 갈리나 치스탘코바 |
날짜 | 1988년 6월 11일 |
장소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레닌그라드 |
2.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변천
국제 아마추어 육상 경기 연맹(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은 1912년부터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공인하기 시작했다. 연맹이 공인한 첫 세계 기록은 피터 오코너가 1901년에 세운 7.61m이다.[1]
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한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모두 18개이다.[1]
# | 기록 | 바람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 | 개최지 | 경기장 | 비고 |
---|---|---|---|---|---|---|---|---|---|---|
1 | 7.61m | 피터 오코너 | 1901. 8. 5 | 더블린 | ||||||
2 | 7.69m | +8cm | Edwin Gourdin | 1921. 7. 23 | 케임브리지 | |||||
3 | 7.76m | +7cm | Robert LeGendre | 1924. 7. 7 | 파리 | |||||
4 | 7.89m | +13cm | 윌리엄 디하트 허버드 | 1925. 6. 13 | 시카고 | |||||
5 | 7.90m | +1cm | 에드워드 햄 | 1928. 7. 7 | 케임브리지 | |||||
6 | 7.93m | 0.0 | +3cm | 실비오 카토르 | 1928. 9. 9 | 파리 | ||||
7 | 7.98m | 0.5 | +5cm | 난부 주헤이 | 1931. 10. 27 | 도쿄 | ||||
8 | 8.13m | 1.5 | +15cm | 제시 오언스 | 1935. 5. 25 | 앤아버 | ||||
9 | 8.21m | 0.0 | +8cm | 랠프 보스턴 | 1960, 8. 12 | 월넛 | ||||
10 | 8.24m | 1.8 | +3cm | 랠프 보스턴 | 1961. 5. 27 | 머데스토 | ||||
11 | 8.28m | 1.2 | +4cm | 랠프 보스턴 | 1961. 7. 16 | 모스크바 | ||||
12 | 8.31m | -0.1 | +3cm | Igor Ter-Ovanesyan | 1962. 6. 10 | 예레반 | ||||
13 | 8.31m | 0.0 | 0 | 랠프 보스턴 | 1964. 8. 15 | 킹스턴 | ||||
14 | 8.34m | 1.0 | +3cm | 랠프 보스턴 | 1964. 9. 12 | 로스앤젤레스 | ||||
15 | 8.35m | 0.0 | +1cm | 랠프 보스턴 | 1965. 5. 29 | 머데스토 | ||||
16 | 8.35m | 0.0 | 0 | Igor Ter-Ovanesyan | 1967. 10. 19 | 멕시코 시 | ||||
17 | 8.90m | 20 | +55cm | 밥 비먼 | 1968. 10. 18 | 1968년 하계 올림픽 | 멕시코 시 | |||
18 | 8.95m | 0.3 | +5cm | 마이크 파월 | 1991. 8. 30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2. 1.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국제 아마추어 육상 경기 연맹(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은 1912년부터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공인하기 시작했다. 연맹이 공인한 첫 세계 기록은 피터 오코너가 1901년에 세운 7.61m이다.[1]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한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모두 18개이다.[1]
# | 기록 | 바람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 | 개최지 | 경기장 | 비고 |
---|---|---|---|---|---|---|---|---|---|---|
1 | 7.61m | 피터 오코너 | 1901. 8. 5 | 더블린 | ||||||
2 | 7.69m | +8cm | Edwin Gourdin | 1921. 7. 23 | 케임브리지 | |||||
3 | 7.76m | +7cm | Robert LeGendre | 1924. 7. 7 | 파리 | |||||
4 | 7.89m | +13cm | 윌리엄 디하트 허버드 | 1925. 6. 13 | 시카고 | |||||
5 | 7.90m | +1cm | 에드워드 햄 | 1928. 7. 7 | 케임브리지 | |||||
6 | 7.93m | 0.0 | +3cm | 실비오 카토르 | 1928. 9. 9 | 파리 | ||||
7 | 7.98m | 0.5 | +5cm | 난부 주헤이 | 1931. 10. 27 | 도쿄 | ||||
8 | 8.13m | 1.5 | +15cm | 제시 오언스 | 1935. 5. 25 | 앤아버 | ||||
9 | 8.21m | 0.0 | +8cm | 랠프 보스턴 | 1960, 8. 12 | 월넛 | ||||
10 | 8.24m | 1.8 | +3cm | 랠프 보스턴 | 1961. 5. 27 | 머데스토 | ||||
11 | 8.28m | 1.2 | +4cm | 랠프 보스턴 | 1961. 7. 16 | 모스크바 | ||||
12 | 8.31m | -0.1 | +3cm | Igor Ter-Ovanesyan | 1962. 6. 10 | 예레반 | ||||
13 | 8.31m | 0.0 | 0 | 랠프 보스턴 | 1964. 8. 15 | 킹스턴 | ||||
14 | 8.34m | 1.0 | +3cm | 랠프 보스턴 | 1964. 9. 12 | 로스앤젤레스 | ||||
15 | 8.35m | 0.0 | +1cm | 랠프 보스턴 | 1965. 5. 29 | 머데스토 | ||||
16 | 8.35m | 0.0 | 0 | Igor Ter-Ovanesyan | 1967. 10. 19 | 멕시코 시 | ||||
17 | 8.90m | 20 | +55cm | 밥 비먼 | 1968. 10. 18 | 1968년 하계 올림픽 | 멕시코 시 | |||
18 | 8.95m | 0.3 | +5cm | 마이크 파월 | 1991. 8. 30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국제 여자 육상 연맹(FSFI)이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1922년이다. 세계여자스포츠연맹은 1936년에 국제 육상 경기 연맹으로 흡수되었다.
3.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변천
# 기록 바람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 개최지 경기장 비고 1 5.16m Marie Mejzlikova II 1922. 8. 16 프라하 2 5.30m +14cm Marie Mejzlikova II 1923. 9. 23 프라하 3 5.485m +18.5cm 뮤리얼 건 1926. 8. 2 런던 4 5.50m +1.5cm 히토미 기누에 1926. 8. 28 예테보리 5 5.57m +7cm 뮤리얼 건 1927. 8. 1 런던 6 5.98m +41cm 히토미 기누에 1928. 5. 20 오사카 7 6.12m +14cm 크리슈텔 슐츠 1939. 7. 30 ISTAF 육상 대회 베를린 8 6.25m +13cm Francina Blankers-Koen 1943. 9. 19 레이던 9 6.28m 0.2 +3cm 이벤 윌리엄스 1954. 2. 20 기즈번 10 6.28m 1.3 0 갈리나 비노그라도바 1955. 9. 11 모스크바 11 6.31m 0.5 +3cm 갈리나 비노그라도바 1955. 11. 18 트빌리시 12 6.35m 1.0 +4cm Elzbieta Krzesinska 1956. 8. 20 부다페스트 13 6.35m 0 Elzbieta Krzesinska 1956. 11. 27 멜버른 14 6.40m 0.0 +5cm 힐드룬 클라우스 1960. 8. 7 에르푸르트 15 6.42m 1.4 +2cm 힐드룬 클라우스 1961. 6. 23 동베를린 16 6.48m -1.5 +6cm 타티야나 시첼카노바 1961. 7. 16 모스크바 17 6.53m 1.5 +5cm Tatyana Shchelkanova 1962 . 6. 10 라이프치히 18 6.70m +17cm Tatyana Shchelkanova 1964. 7. 4 모스크바 19 6.76m -1.6 +6cm 메리 랜드 1964. 10. 14 도쿄 20 6.82m 0.0 +6cm 비오리카 비스코폴레아누 1968. 10. 14 멕시코 시 21 6.84m 0.0 +2cm 하이데 로젠달 1970. 9. 3 토리노 22 6.92m 1.6 +8cm 앙겔라 포크트 1976. 5. 9 드레스덴 23 6.99m 2.0 +7cm Siegrun Siegl 1976. 5. 19 드레스덴 24 7.07m 1.9 +8cm Vilma Bardauskiené 1978. 8. 18 키시뇨프 25 7.09m 0.0 +2cm Vilma Bardauskiené 1978. 8. 29 프라하 26 7.15m 0.3 +6cm Anişoara Cuşmir 1982. 8. 1 부쿠레슈티 27 7.20m -0.3 +5cm Vali Ionescu 1982. 8. 1 부쿠레슈티 28 7.21m 0.6 +1cm Anişoara Cuşmir 1983. 5. 15 부쿠레슈티 29 7.27m 0.6 +6cm Anişoara Cuşmir 1983. 6. 4 부쿠레슈티 30 7.43m 1.4 +16cm Anişoara Cuşmir 1983. 6. 4 부쿠레슈티 31 7.44m 2.0 +1cm 하이케 드렉슬러 1985. 9. 22 동베를린 32 7.45m 0.9 +1cm 하이케 드렉슬러 1986. 6. 21 탈린 33 7.45m 1.1 0 하이케 드렉슬러 1986. 7. 3 드레스덴 34 7.45m 0.6 0 재키 조이너커시 1987. 8. 13 인디애나폴리스 35 7.45m 1.0 0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1988. 6. 11 레닌그라드 36 7.52m 1.4 +7cm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1988. 6. 11 레닌그라드
3. 1.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국제 여자 육상 연맹(FSFI)이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1922년이다. 세계여자스포츠연맹은 1936년에 국제 육상 경기 연맹으로 흡수되었다.
최초의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은 1922년 8월 16일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마리 메이즐리코바 2세가 세운 5.16m였다. 이후 1923년 9월 23일 마리 메이즐리코바 2세는 자신의 기록을 5.30m로 경신했다. 1926년에는 8월 2일 뮤리얼 건이 5.485m, 8월 28일 히토미 기누에가 5.50m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27년 8월 1일 뮤리얼 건은 5.57m로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28년 5월 20일, 히토미 기누에는 5.98m로 자신의 기록을 크게 경신하며 다시 세계 기록 보유자가 되었다.
1939년 7월 30일, 크리슈텔 슐츠는 ISTAF 육상 대회에서 6.12m를 기록하며 11년 만에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43년 9월 19일, Francina Blankers-Koen은 6.25m로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1954년 2월 20일, 이벤 윌리엄스는 6.28m (0.2)를 기록했다. 1955년에는 갈리나 비노그라도바가 9월 11일에 6.28m (1.3), 11월 18일에 6.31m (0.5)를 기록하며 두 차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56년에는 Elzbieta Krzesinska가 8월 20일에 6.35m (1.0), 11월 27일에 6.35m를 기록하며 두 번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1960년 8월 7일, 힐드룬 클라우스는 6.40m (0.0)를 기록했다. 1961년에는 힐드룬 클라우스가 6월 23일에 6.42m (1.4), 타티야나 시첼카노바가 7월 16일에 6.48m (-1.5)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62년 6월 10일, Tatyana Shchelkanova는 6.53m (1.5)를 기록했다. 1964년 7월 4일, Tatyana Shchelkanova는 6.70m를 기록하며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같은 해 10월 14일, 메리 랜드는 6.76m (-1.6)를 기록했다.
1968년 10월 14일, 비오리카 비스코폴레아누는 6.82m (0.0)를 기록했다. 1970년 9월 3일, 하이데 로젠달은 6.84m (0.0)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76년에는 앙겔라 포크트가 5월 9일에 6.92m (1.6), Siegrun Siegl가 5월 19일에 6.99m (2.0)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78년, Vilma Bardauskiené는 8월 18일에 7.07m (1.9), 8월 29일에 7.09m (0.0)를 기록하며 두 차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82년에는 Anişoara Cuşmir가 8월 1일에 7.15m (0.3), Vali Ionescu가 같은 날 7.20m (-0.3)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 경쟁을 벌였다. 1983년, Anişoara Cuşmir는 5월 15일에 7.21m (0.6), 6월 4일에 7.27m (0.6)와 7.43m (1.4)를 기록하며 세 차례나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85년 9월 22일, 하이케 드렉슬러는 7.44m (2.0)를 기록했다. 1986년, 하이케 드렉슬러는 6월 21일에 7.45m (0.9), 7월 3일에 7.45m (1.1)를 기록하며 자신의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1987년 8월 13일, 재키 조이너커시는 7.45m (0.6)로 하이케 드렉슬러와 같은 기록을 세웠다.
1988년 6월 11일, 갈리나 치스티야코바는 7.45m (1.0)와 7.52m (1.4)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
4. 한국의 멀리뛰기
4. 1. 남자
4. 2. 여자
5. 올림픽 멀리뛰기
5. 1. 남자
5. 2. 여자
6.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멀리뛰기
6. 1. 남자
6. 2. 여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